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기업(주식)에 투자하면 안되는 이유(고령화)

by millennialmaleoffice 2024. 10. 6.

본질적으로 주식은 기업의 지분입니다.

 

기업이 성장하면, 주가는 오릅니다. 주식에 투자한다는 것은 장기적으로 기업의 성장을 믿는 것입니다.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젊고 우수한 인력들이 회사에 입사해서,

 

변화와 혁신을 주도해야합니다.

 

현재 세계 최고의 기업들인 애플, 구글, MS, 아마존, 메타, 알리바바 등의 임직원 연령대는 몇 살일까요?

 

 

https://techbehemoths.com/blog/top-us-based-tech-companies-number-employees

 

Top 5 US-based Tech Companies by Number of Employees in 2024

The tech industry has grown significantly in the past few decades, with 7.3 million jobs in the US, 6 million of which are in the private sector. Over the last few decades, the technology se...

techbehemoths.com

https://onezero.medium.com/ctrl-alt-delete-the-planned-obsolescence-of-old-coders-9c5f440ee68

 

Ctrl-Alt-Delete: The Planned Obsolescence of Old Coders

Old coders never die, they just become middle managers.

onezero.medium.com

기업마다 차이는 있으나, 60% 인원이 20~30세 사이이며, 근로자 나이 평균은 28~30세입니다.

 

 

젊은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 환경변화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자발적 초과근로의

 

의욕이 타 연령대에 비해서 큽니다.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변화에 적응하는 기업들의 공통점은 젊은 직원들이 다수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은 어떨까요?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인 삼성전자의 경우 40대 이상 직원 수가 20대를 추월하였습니다.

 

현대차는 이미 50대 이상 연령군이 가장 많이 재직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은 지속적으로 변화해야합니다. 최근 일어나는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진출 실패, HBM에서 하이닉스와 마이크론에 뒤지는 현상,

 

갤럭시 업데이트 및 버즈에서 일어나는 잦은 불량 등은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전체 근로인원 감축, 실무인원 감소와 관리인원의 증가

 

중국 제조사보다 혁신에서 뒤쳐지는 하드웨어 등등은 모두 우연히 일어나는 일이 아닌, 임직원의 고령화로 인하여 일어나는 일입니다.

 

삼성이 가장 혁신적으로 사업을 확장하던 시기인 07~15년에는 임직원 연령대가 만 28세였으나, 현재는 40세에 가까워졌기 때문에

 

삼성전자는 성장보다는 관리와 안정에 중점을 둔 기업으로 변하였으며,
경쟁사에 밀릴 수 밖에 없습니다.

 

한국 최고의 기업인 삼성전자의 내부사정이 이러하다면, 다른 기업군은 더 볼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과거 일본의 전자기업들 또한 고령화로 인해 트렌드 뒤쳐지고, 젊은 삼성전자와 LG전자에 밀린 것처럼,

 

결국 한국의 대기업들도 미국 및 중국, 대만의 경쟁기업들에게 시장을 빼앗길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투자의 대상은 젊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기업들로 선택해야합니다.

(미국의 AI관련 빅테크 주식들)

 

한국 기업들은 잘해봐야 현행수준의 주가를 유지하거나, 최악의 경우에는 파산할 수 있습니다.